Ⅲ. 실제 원가정보를 기초로 수불 및 제조원가를 계산하는 과정
▣ 상기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용되기 위해서는 구매, 재고/창고관리, 회계, 생산 등 관련부서간 업무협조가 원만하게 진행되어야 하고, 내부적으로 시스템이 운용될 수 있는 IT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중소기업 현장을 둘러보면 현실은 그리 녹녹한 상황이 아님을 바로 인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이 원가, 수불에 대한 정보가 갖춰져 있지 않은 경우가 태반이며, 관심도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제조원가에 관심이 없는 중소기업들이 원가, 재고, 수불 등에 관심을 가지는 시기가 있으니 바로 IPO를 준비하는 시기이다.
IPO를 위해서는 재무제표의 분기별 공시가 가능한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데, 제조가 포함된 중소기업이 IPO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넘기 힘든 허들이 바로 제조원가명세서의 작성이다.
제조원가명세서가 작성이 되어야 손익계산서가 작성이 되기 때문에 제조업에서 제조원가가 산출되는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으면 재무제표의 작성과 공시가 불가한 상황이 된다.
비상장 중소기업의 경우 공시의무가 없고, 외부감사법인인 경우에도 년말 결산을 통해 재무제표의 공시를 년1회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은 제조원가명세서가 용인되기도 한다.
하지만, IPO를 준비하는 제조가 포함된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지정감사인으로부터 분기별 제조원가를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을 강요받기 때문에 정확한 원가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은 IPO의 필수요건이며, 대부분의 제조 중소기업이 가장 취약한 분야이기 때문에 IPO관련업계에서는 IPO준비 = 수불부작성 이 공식화되어 있다.
☞. 원가산출을 위해 필요한 기초 작업
▣ 원가관련 수불부와 재고관리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은 중소기업에서 원가정보를 취합하고 산출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솔루션을 구비해야 할 것인가?
본 프로그램에서 Raw Data입력을 받기 위해 만든 폼과 테이블을 보면, 원재료, 재공품, 제품이 확정된 기타품목등록 테이블, 기초 재고 자료가 포함된 TSB_기초재고 테이블, BOM과 공정등록 폼을 기반으로 하여 부족한 원재료에 대한 발주 및 입고정보, 제품에 대한 수주정보, 이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계획, 제조지시, 원재료출고, LOT등록, 제품입고, 제품출고 등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적시에 제공이 된다면 본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계산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수불부와 제조원가명세서가 작성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장을 둘러보거나 현장 담당자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정보는 현실적으로 부가세 신고와 관련한 정보가 대부분이다.
부가세 신고는 의무적으로 해야 하고 세금계산서는 발행해야 하기 때문에 매입과 매출에 대한 금액에 대한 정보는 회사 내부에 있다. 그러나 수량정보는 회사 내부에 있지 않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장에서는 세금계산서 정보만 있는 것으로 가정해서 원가 작업을 시작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 이러한 환경을 가정하고 원가작업을 시작한다면 우선 과거의 매출자료를 분석하여 제품을 구분하고 확정하고, 이 제품과 관련하여 투입되는 원재료 가운데 매입자료와 BOM, 설계/조립자료 등을 분석하여 원재료를 구분하고 확정해야 한다.
즉, 매출자료를 통해 제품이 확정되면 이 제품에 투입되는 원재료를 대상으로 단가, 중요도가 높고, 관리가 용이한 품목 등 원재료 선정에 필요한 내부기준에 의거하여 원재료를 확정한다.
이 때 제품과 원재료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BOM과 같은 투입 소요량 정보가 필요하며, 내부적으로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현장 실무자들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서라도 개략적인 BOM의 작성이 필요하고 추가적으로 공정등록을 할 수 있는 공정절차정보도 필요하다.
이렇게 기본적인 원재료와 제품, BOM/공정 등의 정보를 확정하게 되면, 이에 부합되는 기초재고량과 금액을 산출하여 원가계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이 때 기존에 기초재고로 잡았던 품목들 가운데 원재료에 포함되지 않은 품목들은 계정 대체를 통해 타계정으로 대체하여 제외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확정된 원재료에 대한 정보만을 매입이나 입고/출고에 등록하고 원재료에서 제외된 기존 원재료 항목들은 소모품이나 경상연구개발비 등 타계정 항목으로 처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 본격적인 원가산출작업에 들어가기 전 필요한 준비작업을 부연 설명하면, 매출자료를 통해 제품 품목 확정, 제품과 관련한 BOM/공정정보 수집, BOM을 통해 원재료정보 수집후 원재료 확정, 확정된 제품과 원재료를 가지고 기초재고 정보 확정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이나 장부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정보가 무엇인지 확인해본다면 매출세금계산서와 매입세금계산서 정보일 것이다.
그렇다면 매출세금계산서 가운데 제품매출 정보를 수집하고, 매입세금계산서에서 원재료 매입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확정된 제품과 원재료를 기반으로 세금계산서 정보에서 제품매출과 원재료 매입 정보를 취합하여 준비한다.
이 때 부가세 신고는 금액 신고이기 때문에 수량 정보가 누락되는 경우가 많은데 단가정보가 있다면 수량의 추적이 가능하겠지만 단가정보의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수량데이터가 왜곡될 수도 있음을 인지하고 최대한 현장으로부터 정확한 단가와 수량 정보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한다.
☞. 원가계산 작업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현재까지 취합된 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 제품/원재료 등의 품목자료, 기초재고 자료, 원재료매입 자료, 제품매출 자료
손익계산서상의 제품매출원가를 계상하는 과정을 보면 우선 원재료 입고, 원재료 출고, 총평균법에 의한 원재료 평균단가산정을 통해 기말 원재료재고를 파악한 후 원재료비 계상, 노무비와 제조경비를 제품별로 배부한 후 원재료비와 함께 재공품 대체(당기 총제조원가), 기말 재공품을 감안하여 재공품의 당기 출고금액계산(당기 제품제조원가), 간접비 배부기준에 따라 제품별로 배부된 간접비와 총평균법에 의거하여 계산된 제품 평균단가를 제품의 기말 재고를 감안하여 제품출고원가 계산(당기 제품매출원가), 제품매출금액에서 제품매출원가를 차감한 제품매출이익 산출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 때 원가산출과정은 기초 재고 수치를 제외한 최종 제품매출금액과 최초 원재료 입고금액은 세금계산서로 파악이 가능하며, 나머지 중간과정의 수치들을 계산하는 프로젝트로 볼 수 있다.
현장에서 기말 또는 기준일 현재 제공되는 자료는 기말 재고자료이며, 이 자료를 정답지로 인정하고 비어있는 수치들을 계산해야 한다. 그리고 기말재고, 제품매출 자료로부터 원재료 입고까지 일반적인 원가산출방법의 과정을 역순으로 전개하는 것이 실무적으로 더 나은 방법이 될 수 있다.
◎ 기초자료의 취합 및 가공, 원재료 기말재고에 기초한 BOM조정
본 프로그램을 활용하기에 앞서 현장으로부터 상기 기초 자료를 취합하도록 한다.
기말 원재료 재고자료와 원재료 입고자료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양식의 자료를 수집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일자별 원재료 입고자료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원재료에 대한 입고(매입 세금계산서 기준) 자료를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현장에서 제공된 기말 재고자료를 실사를 통해 확정하여 출고수량을 역산하여 계산하도록 한다.
출고금액에 대한 정보는 아직 원재료의 평균단가 계산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 입력될 것이고, 기초 원재료 금액, 당기 원재료 입고금액(매입금액)이 있기 때문에 총평균법에 의하여 평균단가 도출이 가능하고, 계산된 평균단가와 당기 출고량 및 기말 재고량을 곱하면 당기 출고금액과 기말 재고금액 산출이 가능하다.
당기 원재료 입고자료는 입고조회 테이블의 양식을 참고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품과 관련하여 입수할 수 있는 제품 매출 데이터를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정리하도록 한다.
제품의 매출과 생산과 관련한 자료인데, 실제 재고와 생산 금액의 차이가 발생했을 때는 실제재고, 필요 생산량 등을 감안하여 자료의 정확성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수주정보 테이블 등 수주등록을 위해 제품의 출고정보를 현장에서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정리하도록 한다.
상기 제품출고자료를 바탕으로 제품입고와 제품수주까지의 정보를 역산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재고출고인지 제품생산 출고인지의 여부를 생산량 자료를 통해 확인하여 생산이 필요한 경우 LOT등록 등의 절차를 진행한다.
제품 생산량이 정해지고 BOM을 통해 필요한 원재료의 수량, 즉 원재료의 출고량이 파악됨에도 불구하고 원재료 재고수량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매월 재고/원가 결산과정을 통해 BOM의 정확성을 높이고 실제 재고와 장부상 재고와의 차이를 줄여 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제품 생산량이 파악된 이후에 BOM에 따른 원재료 출고량과 실제 재고량에 기초한 실제 출고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메인 폼의 BOM/공정등록 폼의 바로 우측에 있는 조정 버튼을 클릭한다.
이 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2개의 로컬 테이블에 자료를 저장해야 하는데, 제품생산 정보를 참조하기 위해서 0_Raw_제품생산 테이블이 필요하고, 원재료 출고정보를 참조하기 위해서 0_Raw_원재료출고 테이블이 필요하다.
제품생산과 관련한 자료를 받은 다음, 아래와 같은 0_Raw_제품생산 테이블의 포맷으로 엑셀 저장후 테이블에 붙여넣기를 해서 입력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대로 ID필드의 값들을 모두 삭제한 후에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원재료 재고자료를 기초로 실제 원재료 출고자료를 다음 0_Raw_원재료출고 테이블에서 작업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렇게 작업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정 폼을 열어서 실제 원재료 출고와 장부상 원재료 출고의 차이를 조정하도록 한다.
조정 폼의 제품생산초기화 입력 버튼은 제품 생산량과 판매량을 수기로 입력하기 위해 해당생산량과 해당 판매량을 모두 0으로 넣고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원재료 갱신은 BOM을 수정한 후 필요 원재료의 소요량을 반영할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그리고, 상단의 품목코드 검색과 품목명은 필요량 조정 하위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조정이 필요한 원재료 항목을 선택하여 필요량 조정에서 수정하면 BOM에 저장된 원재료 소요량이 조정된다.
품목코드검색 콤보상자에서 원하는 품목코드를 선택하면 필요량 조정 하위폼의 항목이 선택된 원재료 정보를 쿼리하여 나타나도록 한다.
2개의 기초 테이블을 저장한 후에 필요원재료 하위폼을 선택하면, 제품생산 하위폼에서 입력된 생산량에 기초하여 BOM에 입력된 원재료의 소모량을 반영한 원재료의 필요량이 계산된다.
필요원재료 하위폼의 sort 버튼은 클릭할 때마다 품목명이나 제품명, 필요량을 기준으로 정렬하도록 한 것으로 항목별로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도록 하였다.
필요원재료 하위폼에 반영된 수치들은 BOM을 통해 계산된 이론적인 원재료 소모량을 표시하며, 실제 출고 하위폼에 반영된 실제 원재료 출고량과의 차이는 조정확인 하위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품의 생산이나 원재료의 출고 등록을 진행하지 않고 원재료의 출고를 예측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만든 일종의 원재료 시뮬레이션 폼으로 이해할 수 있다.
조정확인 하위폼에서는 BOM에 기초하여 계산된 이론 출고와 현장에서 받은 원재료 재고자료에 기초하여 계산된 실제 출고의 차이를 배율로 환산하여 조정배수가 2배인 경우 BOM상의 소요량을 2배이상 늘려야 하고, 0.5인 경우에는 BOM상의 소요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식으로 조정을 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한 실제 BOM에서의 조정은 필요량조정 하위폼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품목코드검색을 통해 과다 혹은 과소된 원재료 항목을 선택하여 BOM상의 수치를 조정하면 된다. 품목코드의 초기화는 품콕코드검색에서 선택된 원재료 코드를 삭제하면 된다.
상기 조정확인 하위폼의 품목코드의 경우 실제 출고량이 BOM에 의해 계산된 이론 출고량과의 조정배수가 2.32배이므로 BOM상의 소요량을 2배 늘려야 함을 의미한다.
조정작업을 위해 필요량 조정 하위폼으로 이동한 후, 품목코드검색 콤보박스에서 품목코드를 선택한다. 품목코드검색 콤보박스에서 클릭후 품목코드나 품목명을 찾아서 선택해도 되지만 품목코드의 텍스트를 복사한 후에 품목코드 검색 콤보박스에서 붙여넣기하고 엔터(Enter)를 해서 선택해도 된다.
필요량 조정 하위폼에서 선택한 품목이 사용되는 제품군이 많이 발견된다. 다시 필요원재료 하위폼으로 돌아와서 품목명 옆의 sort 버튼을 클릭해서 선택한 품목이 사용되는 제품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선택한 품목이 사용되는 4개의 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 필요량 조정에서 4개의 제품에 대한 BOM을 수정하면 된다. 즉 필요량조정 하위폼에서 4개의 제품에 대한 소요량을 1.0에서 2.0으로 수정하도록 하자.
'비지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원가 관리 시스템 매뉴얼 6 (2) | 2024.04.04 |
---|---|
제조원가 관리 시스템 매뉴얼 4 (2) | 2024.04.02 |
제조원가 관리 시스템 매뉴얼 3 (0) | 2024.04.01 |
제조원가 관리 시스템 매뉴얼 2 (0) | 2024.03.31 |
제조원가 관리 시스템 매뉴얼 1 (2)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