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업 개요 (Company Overview)
### ㅇ 핵심 정보
* **회사명:** Telstra Group Limited
* **종목 코드:** TLS.AX
* **설립일:** 1901년 (구 Telstra Corporation Limited에서 2022년 11월 Telstra
Group Limited로 사명 변경)
* **본사 주소:** Melbourne, Australia
* **웹사이트:** https://www.telstra.com.au
* **주요 사업 요약:** 텔스트라 그룹은 호주 및 국제적으로 통신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 도적인 기업입니다.
모바일 및 유선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소비자 및 중소기업 고객에게 통신 및 기술 제품 및 서 비스를 제공하며, 콜센터,
소매점, 유통망, 디지털 채널, 고객 로열티 프로그램(Telstra Plus)도 운영합니다. 또한 정부 및 대 기업 고객에게
네트워크 용량 및 관리, 통합 커뮤니케이션, 클라우드, 보안, 산업 솔루션, 통합 및 모니터링 서비 스를 제공하며, 다른 통신
사업자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게 도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데이터 센터, 교환소, 전신주, 통신관, 광섬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유선 수동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 및 관리합니다.
### ㅇ 지배구조 및 경영진 현황
* **최대/주요 주주:** 제공된 데이터에 따르면, 10대 주주가 약 59.69%를 차지하고 있으며, J.P. MORGAN NOMINEES AUSTRALIA PTY LIMITED (14.93%), HSBC CUSTODY NOMINEES (AUSTRALIA) LIMITED (13.99%), CITICORP NOMINEES PTY LIMITED (9.57%) 등이
주요 주주로 파악됩니다.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영향력이 상당함을 시사하며, 주요 기관들의 투 자 결정이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경영진:**
* **Vicki Maree Brady (CEO, MD & Director):** 2025 회계연도 총 급여
4,255,000 AUD. 텔스트라 그룹의 최고 경영자로서 전략 및 운영 전반을 총괄합니다.
* **Michael G. Ackland (CFO and Group Executive of Strategy &
Finance):** 2025 회계연도 총 급여 2,383,000 AUD. 최고 재무 책임자로서 회사의 재무 전략, 자금 조달
및 재무 성과 관리를 담당합니다.
* **Kathryn van der Merwe (Group Executive of People, Culture &
Capability):** 2025 회계연도 총 급여 1,731,000 AUD. 인사, 조직 문화 및 역량 개발을 총괄합니다. * **Kim Krogh Andersen (Group Executive of Product & Technology):**
2025 회계연도 총 급여 2,103,000 AUD. 제품 및 기술 부문을 이끌며, 신제품 개발 및 기술 혁신을 책임집니다.
* **Bradley Evan Whitcomb (Group Executive of Telstra Consumer):**
2025 회계연도 총 급여 2,030,000 AUD. 개인 소비자 부문의 전략 및 운영을 총괄합니다. * **임직원 현황:*** **총 임직원 수:** 30,553명
* **평균 근속년수, 평균 연봉:** 제공된 데이터에는 직접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주요 경 영진의 높은 급여 수준은
회사의 규모와 중요성을 반영합니다.
### ㅇ 주요 타법인 출자 현황
제공된 데이터에는 텔스트라 그룹의 주요 타법인 출자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목록은 명시되어 있 지 않습니다. 다만,
‘Section 6: Our Investments’ 및 관련 노트에서 언급된 내용을 종합하면, 텔스트라 그룹은 다음과 같은
투자 활동을 수행합니다.
* **종속 회사:** Origin Energy Limited 및 그 종속 회사들을 연결 재무제표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호주 및 해외 여러 국가에 다양한 종속 회사를 두고 있습니다.
* **공동 투자 및 관계 회사:** APLNG (27.5% 지분율, 호주), Octopus Energy (22.7%
지분율, 영국) 등과 같은 주요 공동 투자 및 관계 회사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업 시너지를 추구하 고 있습니다.
* **벤처 캐피탈 투자:** Titanium Ventures Fund II, L.P. 등 벤처 캐피탈 펀드에 투자하여
혁신적인 기술 및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사업 시너지 및 리스크 분석:**
* **시너지:** APLNG와의 투자는 가스 생산 및 공급망에서의 시너지를, Octopus Energy 투자는 에너지
소매 시장에서의 기술 및 고객 경험 혁신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벤처 캐피탈 투자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및 신기술
도입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리스크:** 공동 투자 및 관계 회사의 실적 부진은 텔스트라 그룹의 재무 성과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 대상 회사의 운영 리스크, 규제 변화, 시장 변동성 등은 텔스트라 그룹에도 잠재적인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APLNG 관련 소송 등은 잠재적인 재무적 부담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사업 분석 (Business Analysis)**
### ㅇ 주요 사업 부문 및 제품/서비스
텔스트라 그룹은 호주 통신 시장의 선두주자로서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고 있으며, 크게 다음과 같은 6개 부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Telstra Consumer (TC):** 개인 소비자 대상 모바일, 광대역, 유선 전화, TV 서비스 및 관련 기기 판매. Telstra Plus 고객 로열티 프로그램 운영.
* **Telstra Business (TB):** 중소기업 대상 모바일, 광대역, 유선 전화, IT 솔루션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 **Telstra Enterprise Australia (TEA):** 호주 내 정부 및 대기업 고객 대상의 포괄적인통신 및 기술 솔루션 제공. 여기에는 네트워크 용량 및 관리, 통합 커뮤니케이션, 클라우드, 사이 버 보안, 산업별 솔루션,
통합 및 모니터링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 **Telstra International (TI):** 국제 통신, 미디어 및 기술 제품 및 서비스를 해외 소비자,
기업 및 도매 고객에게 제공.
* **Networks, IT and Products:**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 IT 시스템 및 기술 제품의 개발, 구축 및 관리. 이는 회사의 핵심 기술 기반을 형성하며, 5G 네트워크, 광대역 인프라 구축 등을 포함합 니다.
* **Telstra InfraCo:** 네트워크 인프라, 데이터 센터, 교환소, 전신주, 통신관, 광섬유 네트워크 등 수동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 및 관리하며, 도매 고객에게 이러한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 합니다.
**매출 비중:** 제공된 데이터에는 각 사업 부문별 정확한 매출 비중은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Mobile 부문이 2025년
기준 5,567백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경쟁 우위 및 핵심 기술:**
* **광범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호주 전역을 아우르는 가장 광범위하고 깊이 있는 네트워크 커 버리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5G 기술을 포함한 최첨단 기술을 신속하게 배포하고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이 됩니다.
*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 및 고객 기반:** 호주 최고의 통신 브랜드로서 높은 신뢰도와 방대한 고객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기술 리더십:** 5G 네트워크 구축, AI 기반 서비스 개발, 디지털 전환 솔루션 제공 등 기술 혁 신을 선도하며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통합 솔루션 제공 능력:** 단순 통신 서비스를 넘어 IT, 클라우드, 보안 등 포괄적인 디지털 솔 루션을 기업
고객에게 제공하여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합니다.
### ㅇ 산업 환경 및 경쟁 구도
텔스트라 그룹은 호주 통신 산업에 속해 있으며, 이 산업은 기술 발전, 규제 변화, 치열한 경쟁 환 경으로 특징지어집니다.
* **산업 특성:**
* **높은 자본 집약도:**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및 유지보수에 막대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 **기술 혁신 가속화:** 5G, AI, IoT 등 신기술 도입이 필수적이며, 이는 지속적인 R&D 투자를 요구합니다.
* **규제 환경:** 정부의 통신 정책, 주파수 할당, 망 중립성 등 규제 준수가 중요합니다.
* **고객 경험 중심:** 경쟁 심화로 인해 고객 경험 및 만족도 관리가 차별화의 핵심 요소로 작용 합니다.
* **성장 동력:**
* **5G 네트워크 확장 및 활용:** 5G 기술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 **데이터 및 AI 기반 서비스:**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 기업 고객의 디지털 전환 지원.
* **IoT 및 커넥티드 홈 솔루션:** 스마트홈, 커넥티드 카 등 사물인터넷 시장 성장 기회 활용. *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강화:** 클라우드, 사이버 보안, IT 컨설팅 등 B2B 서비스 확대.* **InfraCo 부문 성장:** 네트워크 인프라를 타 통신사에게 도매로 제공하며 수익원 다각화.
* **주요 경쟁사:**
* **Optus:** 싱가포르 Singtel 소유의 호주 2위 통신 사업자.
* **TPG Telecom:** Vodafone Hutchison Australia (VHA)와의 합병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
* **기타 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및 MVNO:** 다양한 저가형 요금제를
제공하며 시장 점유율 확보 경쟁.
* **경쟁 환경:** 텔스트라 그룹은 시장 점유율 1위 사업자로서 강력한 네트워크와 브랜드 인지 도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Optus와 TPG Telecom의 공격적인 마케팅 및 가격 경쟁으로 인해 시장 점유율 방어 및
신규 고객 확보에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됩니다. 특히, 5G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대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이 핵심 경쟁
요소입니다.
* **기술 트렌드:** 5G 네트워크의 상용화 및 확산, AI 기술을 활용한 고객 서비스 및 운영 효율 성 증대, IoT
생태계 확장 등이 주요 기술 트렌드입니다.
* **규제 변화:** 정부의 통신 시장 규제 정책 변화, 특히 망 중립성, 주파수 경매 및 할당, 데이터 프라이버시 관련
규제 변화는 사업 운영 및 투자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ㅇ 성장 전략
텔스트라 그룹은 "Connected Future 30" 전략을 통해 미래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성장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객 중심의 경험 강화:**
* **Kraken 기반 운영 모델:** 고객 경험 향상, 운영 효율성 증대, 비용 절감 및 이탈률 감소 달성. *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 데이터 분석 역량을 활용하여 고객 맞춤형 제안 및 경험 제공.
* **기술 리더십 강화:**
* **5G 네트워크 투자 지속:** 호주 전역에 걸쳐 가장 발전된 5G 경험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투 자.
* **AI 및 디지털 기술 활용:** AI 기반 서비스 개발, 디지털 전환 솔루션 제공을 통한 경쟁력 강 화.
* **InfraCo 사업 강화:** 네트워크 인프라 자산의 가치 극대화 및 도매 수익 증대.
* **포트폴리오 최적화 및 투자:**
* **M&A 및 파트너십:** Boost 모바일 인수 등 전략적 M&A 및 Infosys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시 너지
창출.
* **핵심 사업 외 성장 기회 모색:** 에너지 전환 관련 서비스(Octopus Energy 투자 등) 및 기타 성 장
분야 투자.
* **주주 가치 제고:**
* **안정적인 배당:** 주주 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배당금 지급 및 성장 추구.
* **자사주 매입:** 주주 수익 증대를 위한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시행.
**실현 가능성 평가:** 텔스트라 그룹은 호주 통신 시장에서의 확고한 입지, 광범위한 네트워크인프라,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위 성장 전략을 추진할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5G 기술 선점 및 AI 기반 서비스 개발은 미래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경쟁 심화, 규제 환경 변화, 신기술 도입 관련 불확실성 은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ㅇ 영업 현황
* **주요 고객:** 개인 소비자, 중소기업, 대기업 및 정부 고객
* **판매 전략:**
* **소매 부문:** 경쟁력 있는 요금제, 번들 상품, Telstra Plus 로열티 프로그램을 통한 고객 유치 및
유지.
* **기업 부문:** 맞춤형 통신 및 IT 솔루션 제공, 파트너십 강화를 통한 시장 확대.
* **매출처 다변화 수준:** 개인 소비자, 중소기업, 대기업, 정부 등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 어 매출처가
다변화되어 있습니다.
* **수주 현황:** 제공된 데이터에 구체적인 수주 현황은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업 부문에서 의 대규모 통신 및 IT
솔루션 계약 수주가 매출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8월 13일 뉴스에 따르 면, 텔스트라 그룹은
2025년 재무 실적에서 "Strong 2025 Financial Results"를 보고했으며, 이는 긍정적인 영업 활동을 시사합니다.
### ㅇ 생산 및 설비
* **생산 능력 (Capa):** 텔스트라 그룹은 자체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기지국, 광케이블망 등)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생산 설비의 구체적인 Capa 수치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 **가동률:** 핵심 네트워크 인프라의 높은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안 정적인 서비스 제공의
기반이 됩니다.
* **주요 원재료 조달:** 네트워크 장비(기지국, 라우터 등), 광케이블, 모바일 기기 등을 주요 공 급업체로부터
조달합니다. 공급망 다변화 및 주요 공급업체와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조달을 추구합니 다.
* **설비 투자 계획:** 5G 네트워크 확장,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 구축, 데이터 센터 확충 등에 대 한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5년 연간 실적 발표에서 "strong cost control and disciplined capital management"를 언급하며 자본 지출 관리에 힘쓰고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 ㅇ 연구 개발(R&D)
* **R&D 활동:** 5G 기술, AI, IoT, 클라우드, 사이버 보안 등 미래 통신 기술 및 서비스 개발에 R&D
투자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 **투자 규모:** 제공된 데이터에 구체적인 R&D 투자 규모는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2025년 연간보고서에서 "invested over $18 million in training and development in FY25,
with more than $3.5 million invested in technology training and $3.1
million in leadership training"이라는 언급이 있으나, 이는 R&D 투자와는 별개의 항목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통신사의 R&D 투자는 설비 투자와 함께 집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주요 성과:** 5G 기술 선도, AI 기반 고객 서비스 향상, 디지털 전환 솔루션 개발 등
* **지적 재산권 현황:** 특정 지적 재산권 보유 건수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 **매출액 또는 자산 대비 R&D 투자 비율:** 제공된 데이터로는 계산이 어렵습니다.
### ㅇ 핵심 기술에 대한 상세 설명 및 분석
텔스트라 그룹의 핵심 기술은 통신 서비스 제공의 근간을 이루며, 미래 성장 동력의 핵심입니다.
* **5G 네트워크 기술:**
* **설명:** 5G는 4G LTE보다 훨씬 빠른 속도, 더 낮은 지연 시간, 더 많은 장치 연결을 지원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입니다. 텔스트라는 호주 최초로 5G 네트워크를 상용화했으며, 전국적으로 5G 커 버리지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 **기술 난이도 및 발전 예측:** 5G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은 고도의 기술력과 막대한 투자를 요 구합니다. 향후
5G는 단순히 스마트폰 통신을 넘어 IoT, 자율 주행,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반 기술 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텔스트라는 Ericsson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5G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 **AI 및 데이터 분석 기술:**
* **설명:** 텔스트라는 AI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 경험을 개인화하고, 운영 효율 성을 증대하며, 새로운
서비스 개발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챗봇을 통한 고객 상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고객 맞춤형 상품 추천 등이
있습니다.
* **미래 전망:** AI 기술은 통신 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할 것입니다. 텔스트라는 Accenture와의 합작
투자를 통해 AI 역량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며, 이는 향후 서비스 혁신 및 운영 효율성 제고에 크 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네트워크 가상화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SDN):**
* **설명:** 전통적인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 을 구현하고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구축 및 변경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전망:** 네트워크 가상화는 통신 인프라의 민첩성을 높이고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텔스트라도 이러한 기술 도입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것입니다.
* **사이버 보안 기술:**
* **설명:** 텔스트라는 중요한 통신 인프라를 운영하므로, 고객 데이터 보호 및 네트워크 보안 을 위한 최첨단 사이버
보안 기술을 필수적으로 보유해야 합니다.
* **전망:** 사이버 위협이 고도화됨에 따라, 텔스트라는 보안 역량 강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고객 신뢰를 유지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AI 기반 보안 솔루션 및 위협 탐지 시스템 강화가 중요합니 다.### ㅇ 기타 사업 관련 정보
* **InfraCo 모델:** 텔스트라 인프라 회사(Telstra InfraCo)를 통해 네트워크 인프라 자산을 분리 하여
관리하고, 이를 다른 통신 사업자들에게 도매로 제공함으로써 수익원을 다각화하고 자본 효율성 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통신 인프라 시장에서의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 **파트너십 강화:** Infosy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호주 내 AI 기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등,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지속가능성 및 ESG:** 텔스트라는 기후 변화 대응, 순환 경제, 책임감 있는 공급망 관리 등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기업 가치 제고 및 이해관계자 신뢰 확보에 기여할 것입니다.
**재무 성과 분석 (Financial Performance Analysis)**
### ㅇ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분석
**재무상태표 분석:**
* **자산:**
* 총 자산은 2025년 기준 45,605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습니다.
* 비유동 자산(Property, plant and equipment, Intangible assets 등)이 총 자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이는 통신 인프라 투자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 유동 자산(Cash and cash equivalents, Trade and other receivables 등)은
6,949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증가했습니다.
* **부채:**
* 총 부채는 28,361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습니다.
* 유동 부채(Borrowings, Trade and other payables 등)는 10,195백만 달러, 비유동
부채(Borrowings, Deferred tax liabilities 등)는 18,166백만 달러입니다.
* 부채 비율(Total liabilities / Total equity)은 약 1.65배로, 안정적인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 **자본:**
* 총 자본은 17,244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습니다.
* 자본 구조는 주로 Contributed equity와 Retained earnings로 구성됩니다.
* **유동성:**
* Current Ratio (유동 자산 / 유동 부채)는 약 0.68로, 1 미만이므로 단기 유동성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Quick Ratio (유동 자산 - 재고 자산)도 유사한 수준을 보입니다. (제공된 데이터의 Current
Ratio 0.5637531464282615, Quick Ratio 0.5216561062407777 참조). 이는 단기 지급
능력에 대한 면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 **건전성 평가:** 전반적으로 부채 비율이 안정적이고, 이자보상배율(EBIT/Net finance costs)이 2025년 기준 약 5.8배 (1,846 / 316)로 양호하여 재무 건전성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손익계산서 분석:**
* **매출:*** 2025년 매출은 23,125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사업 성장세를 반영합니다.
* **영업이익:**
* EBITDA는 8,607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14.3% 증가하며 견조한 영업 성과를 나타냈습니다. * EBIT는 1,846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4.1% 증가했습니다.
* **당기순이익:**
* 2025년 당기순이익은 1,480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6.0% 증가했습니다.
* 이는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EBITDA 개선에 힘입은 결과로 판단됩니다.
* **수익성 변화 요인:**
* **긍정적 요인:** 매출 증가, EBITDA 개선, 비용 절감 노력 (Underlying Operating
Expenses 감소).
* **부정적 요인:** Goods and services purchased, Labour 비용 등 일부 비용 항목의
증가.
* **기타:** Share of net loss from joint ventures and associated
entities (17백만 달러).
### ㅇ 년도별 주요 지표 추세 분석
| 지표 (단위: 백만 달러) | 2024년 | 2025년 | 전년 대비 변화 (%) |
분석
|
| :---------------------------- | :----------- | :----------- |
:--------------- | :----------------------------------------------------------------------------------------------------------------------------- ------------------------------------------------------------------------------------------------
|
| **매출 (Revenue)** | 22,928 | 23,125 | 0.9%
| 개인 소비자 및 기업 고객 부문의 꾸준한 수요와 신규 서비스 출시로 인한 완만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 **EBITDA** | 7,528 | 8,607 | 14.3%
| 서비스 매출 성장, 강력한 비용 통제 및 효율적인 자본 관리에 힘입어 EBITDA가 크게 개선되었 습니다. 이는 영업 효율성
증대 및 수익성 개선을 나타냅니다.
|
| **당기순이익 (Profit for the year)** | 1,397 | 1,480 | 6.0%
| 매출 성장과 EBITDA 개선에 힘입어 당기순이익 또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 의 전반적인 수익 창출 능력이
강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 **총 자산 (Total assets)** | 45,550 | 45,605 | 0.1%
| 신규 설비 투자 및 사업 확장을 반영하여 소폭 증가했습니다.
|
| **총 부채 (Total liabilities)** | 27,167 | 28,361 | 4.4%
| 신규 차입 및 금융 리스 부채 증가 등으로 인해 총 부채가 증가했습니다.
|
| **총 자본 (Total equity)** | 17,352 | 17,244 | -0.6%
| 당기순이익에도 불구하고 배당금 지급 및 자사주 매입 등의 영향으로 총 자본은 소폭 감소했습 니다.
|### ㅇ 재무 비율 평가
* **안정성:**
* **부채 비율 (Debt-to-Equity Ratio):** 1.10 (2025년), 1.19 (2024년). 타 기업
대비 다소 높은 수준이지만, 통신 산업의 자본 집약적 특성을 고려할 때 용인될 수 있는 수준입니 다.
* **유동 비율 (Current Ratio):** 0.56 (2025년). 1 미만으로 단기 유동성 확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 **활동성:**
* **총자산회전율 (Asset Turnover Ratio):** 0.51 (2025년, 매출/총자산). 자산 대비 매출
창출 능력은 산업 평균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 **성장성:**
* **매출 증가율 (Revenue Growth):** 0.9% (2025년).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영업이익 증가율 (EBIT Growth):** 4.1% (2025년). 매출 성장 대비 영업이익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당기순이익 증가율 (Net Income Growth):** 6.0% (2025년).
* **수익성:**
* **영업이익률 (Operating Margin):** 8.0% (EBIT/Revenue, 2025년).
* **순이익률 (Profit Margin):** 6.4% (Net Income/Revenue, 2025년).
* **자기자본이익률 (ROE):** 8.5% (2025년).
* **투하자본이익률 (ROIC):** 8.5% (Underlying ROIC, 2025년). 이는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투입된 자본 대비 수익 창출 능력이 우수함을 시사합니다.
* **가치 평가:**
* **PER (Price-to-Earnings Ratio):** 25.55 (TTM). 호주 통신 산업 평균 PER과
비교하여 다소 높은 수준으로, 성장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PBR (Price-to-Book Ratio):** 3.97. 순자산 가치 대비 높은 주가 수준을 나타냅니다. * **EV/Revenue:** 3.26.
* **EV/EBITDA:** 10.84. 이는 업계 평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 ㅇ 재무 상태 SWOT 분석
* **강점 (Strengths):**
* 호주 통신 시장에서의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 및 강력한 브랜드 파워. * 견고하고 광범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 지속적인 EBITDA 성장 및 영업 효율성 개선.
* 안정적인 현금 흐름 창출 능력.
* 주주 환원 정책 (배당 및 자사주 매입).
* **약점 (Weaknesses):**
* 낮은 유동 비율 및 단기 지급 능력에 대한 잠재적 우려. * 높은 부채 비율 (산업 평균 고려 시 허용 가능).
* 경쟁 심화로 인한 마진 압박 가능성.
* **기회 (Opportunities):**
* 5G 기술 확산 및 관련 신규 서비스 시장 확대.
* AI, IoT 등 신기술 기반 서비스 개발 및 수익화.
* 기업 고객 대상 디지털 전환 솔루션 시장 성장.
* InfraCo 사업을 통한 인프라 자산 가치 극대화.
* Telstra Plus 로열티 프로그램 강화를 통한 고객 충성도 증대. * **위협 (Threats):*** 강력한 경쟁사들의 공격적인 가격 및 서비스 경쟁.
* 통신 산업 규제 변화 및 정부 정책 불확실성.
* 신기술 도입 및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에 따른 막대한 자본 지출 부담.
* 사이버 보안 위협 및 데이터 유출 리스크.
* 거시 경제 환경 변화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등)의 잠재적 영향.
### ㅇ 기타 재무 데이터 분석
* **배당:** 2025년 기준 배당수익률 3.87%, 주당 배당금 0.19 AUD. 이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합니다.
* **현금 흐름:**
* 영업 활동 현금 흐름: 2025년 기준 7,324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증가하여 견조한 영업 현금 창 출 능력을
보여줍니다.
* 잉여 현금 흐름 (Free Cash Flow): 2025년 기준 3,450백만 달러 (Free Cash Flow
after lease payments before strategic investment). 이는 배당, 자사주 매입, 부채
상환 및 전략적 투자에 활용될 수 있는 여력을 나타냅니다.
* **주가 관련 지표:**
* **PER:** 25.55 (TTM), **Forward PER:** 23.12.
* **PBR:** 3.97.
* **배당 수익률 (Dividend Yield):** 3.87%.
**시장 동향 및 주가 분석 (Market & Stock Analysis)**
### ㅇ 최근 주가 흐름
* **최근 1년간 주봉 종가 데이터 분석:** 텔스트라 그룹의 주가는 지난 1년간 3.78 AUD (52주 최 저가)에서
5.065 AUD (52주 최고가) 범위에서 움직이며, 28.44%의 52주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제공된 주 봉
데이터(2024년 9월 ~ 2025년 9월 1일)를 살펴보면, 주가는 초기 하락세를 보이다가 2025년 2월경 부터 완만한 상승
추세를 나타냈습니다. 특히 2025년 2월 중순 이후 4.00 AUD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며 점진적인 회 복세를 보였으며, 8월
말에는 4.855 AUD 수준까지 상승했습니다.
* **재무 분석 결과와 주가 비교:** 2025년 실적 발표에서 EBITDA의 큰 폭 증가와 견조한 영업 현금 흐름,
안정적인 배당 정책 발표는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25.55배의 PER과 3.97배의
PBR은 현재 주가가 성장 기대감을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52주 최고가 수준에 근접한 현재 주가는 향후
추가적인 상승 모멘텀 확보를 위해 긍정적인 실적 발표나 사업 성과 개선이 지속될 필요가 있습 니다.
### ㅇ 주요 주가 관련 지표* **최종 종가 (2025년 9월 3일 기준):** 4.855 AUD
* **시가총액 (Market Cap):** 55,274,176,512 AUD
* **발행 주식 수 (Shares Outstanding):** 11,384,999,936 주
* **PER (Trailing Twelve Months):** 25.55
* **의미:** 1주당 순이익 대비 현재 주가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25.55배는 텔스트라의 순이익 대 비 현재 주가가
25.55배 수준임을 의미하며, 이는 과거 실적 대비 향후 성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 **Forward PER:** 23.12
* **의미:** 향후 예상되는 1주당 순이익 대비 현재 주가의 비율입니다. 이는 현재 PER보다 낮은 수준으로, 향후
순이익 성장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인 전망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PBR (Price-to-Book Ratio):** 3.97
* **의미:** 1주당 순자산 가치 대비 현재 주가의 비율입니다. 3.97배는 기업의 장부 가치 대비 약 4배의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브랜드 가치, 기술력, 성장 잠재력 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EV/Revenue:** 3.26
* **의미:** 기업 가치(EV) 대비 매출액 비율입니다. 이는 기업의 매출 규모 대비 시장에서 평가 하는 가치를
나타냅니다.
* **EV/EBITDA:** 10.84
* **의미:** 기업 가치(EV) 대비 EBITDA 비율입니다. 이는 기업의 영업 현금 창출 능력 대비 기 업 가치를
나타내며, 10.84배는 비교적 합리적인 수준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3.87%
* **의미:** 주가 대비 연간 배당금 비율입니다. 3.87%의 배당수익률은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중 시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베타 (Beta):** 0.272
* **의미:** 시장 전체의 변동성에 비해 텔스트라 주가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 는 지표입니다. 0.272의
낮은 베타 값은 텔스트라 주가가 시장 전체의 변동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안정적인 사업 모델을 가진 기업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고평가 및 저평가 의견:** 25.55배의 PER과 3.97배의 PBR은 텔스트라가 현재 시장에서 다소 고평가된 상태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52주 최고가 수준에 근접한 주가 흐름은 상승 여력에 대한 신중한 접근 을 요구합니다. 그러나
긍정적인 실적 성장 추세, 안정적인 배당, 그리고 통신 산업의 필수적인 성격 등을 고려할 때, 투 자자들은 성장 잠재력과 안정성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최근의 긍정적인 주가 흐름은 5G 투자 확대 및 AI 기반 서비스 강화와
같은 회사의 성장 전략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ㅇ 최신 시장 뉴스 및 평가
* **(2025-08-13) Telstra Group Limited Reports Strong 2025 FinancialResults (TipRanks):** 2025년도에 견조한 재무 실적을 보고했다는 뉴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 **(2025-08-14) Telstra Group (ASX:TLS) FY Profit Rises 31% to
A$2.34 Billion (IndexBox):** 31%의 순이익 성장은 매우 인상적인 수치이며, 이는 강력한 영업 실 적을
뒷받침합니다.
* **(2025-08-13) Australia’s Telstra shares fall despite FY profit
rise, buyback announcement (Investing.com):** 순이익 증가 및 자사주 매입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했다는 뉴스는 시장의 단기적인 심리나 기타 요인이 주가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는 투자
시점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입니다.
* **(2025-08-14) Telstra mobile customers trading down to cheaper
plans (AFR):** 모바일 고객들이 더 저렴한 요금제로 이동하고 있다는 소식은 경쟁 심화와 가격 민감도 증가를
나타내며, 이는 텔스트라의 시장 점유율 및 수익성에 잠재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 **(2025-08-29) Telstra Announces CHF200 Million Bond Issuance
(TipRanks):** 스위스 프랑화 채권 발행은 자금 조달 다변화 및 외환 리스크 관리를 위한 전략으 로 볼 수 있습니다.
* **(2025-08-14) Infosys, Telstra partner to boost AI-powered
digital transformation in Australia (Capacity Media):** Infosys와의
파트너십은 AI 및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의 기술 협력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며, 이는 미래 성장 잠재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영향 분석:**
* **단기적 영향:** 긍정적인 재무 결과 발표는 주가에 긍정적인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으나, 경 쟁 심화 관련 뉴스는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사주 매입 발표는 주가 지지 요인으로 작 용할 수 있습니다.
* **장기적 영향:** AI 및 디지털 전환 관련 파트너십 강화, 5G 네트워크 투자는 장기적인 경쟁력 강화 및 성장
동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정적인 배당 정책은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요소입니 다. 다만, 고객 이탈 추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 전략이 중요합니다.
**리스크 요인 분석 (Risk Factor Analysis)**
### ㅇ 주요 사업 리스크
* **경쟁 심화:** 호주 통신 시장은 Optus, TPG Telecom 등 주요 경쟁사들과 다수의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들의 치열한 경쟁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이는 가격 압박, 시장 점유율 하 락,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가격 경쟁에 민감한 소비자 부문에서 이러한 리스크가 크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기술 변화 및 투자 부담:** 5G, AI, IoT 등 신기술의 빠른 발전은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를 요구 합니다.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신기술 도입에 뒤처질 경우 경쟁력을 상실할 위험이 있으며, 과도한 투자는 재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025년 8월 14일 AFR의 "Telstra mobile customers trading down to
cheaper plans" 기사는 고객들이 저렴한 요금제로 이동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이는 경쟁 심화로 인 한 마진 압박의 한
단면을 보여줍니다.
* **규제 및 정책 변화:** 통신 산업은 정부의 규제를 많이 받는 산업입니다. 주파수 경매, 망 중 립성 정책, 데이터
프라이버시 규제 등 예상치 못한 규제 변화는 사업 운영 및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 습니다. 2025년 8월
27일자 뉴스에서는 텔스트라의 연례 주주 총회 개최에 대한 내용이 있으나, 구체적인 규제 관련 리스크는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프라이버시:** 텔스트라는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이버 공격 및
데이터 유출의 위험에 상시 노출되어 있습니다. 개인 정보 보호 규제 강화 추세와 맞물려, 보안 사 고 발생 시 막대한 벌금,
법적 소송, 브랜드 이미지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운영 리스크:** 네트워크 장애, 서비스 중단, 인프라 관리 실패 등 운영상의 문제는 고객 불만 증가 및 수익
손실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2025년 7월 8일자 로이터 및 TradingView 뉴스에서 "Australia's Telstra to axe 550 roles in enterprise business overhaul" 또는
"Australia's Telstra to cut 550 roles across company"와 같은 내용은 사업 구조 조정
및 효율화 노력의 일환으로 이해되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운영상의 차질 위험도 고려 해야 합니다.
* **법적 분쟁 및 우발채무:** 제공된 데이터에는 텔스트라 그룹 자체의 진행 중인 소송이나 우 발채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습니다. 다만, APLNG 관련 소송 (Origin Energy Limited 관련 데이터에서 언급)은 간접 적으로
텔스트라 그룹의 투자 리스크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 ㅇ 재무 리스크
* **금리 변동 리스크:** 텔스트라 그룹은 상당한 규모의 차입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변동 금리 차입금의 경우 금리 상승
시 이자 비용 증가로 인해 재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25년 8월 27일자 뉴 스에서 "Telstra
Announces €550 Million Bond Issue to Support Corporate Growth"와 같이 채권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은 금리 변동 리스크 관리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환율 변동 리스크:** 텔스트라는 해외 사업 및 해외로부터의 장비 조달 등으로 인해 환율 변 동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특히, 호주 달러 대비 주요 통화(USD, EUR 등)의 환율 변동은 수익 및 자산/부채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025년 8월 29일자 뉴스에서 CHF 200백만 채권 발행 소식은 외화 부채 관리 전략을 보여줍니다. * **신용 리스크:** 고객 및 거래 상대방의 채무 불이행 위험이 존재합니다. 특히 대규모 기업 고 객이나 금융 거래
상대방과의 신용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 **유동성 리스크:** 텔스트라의 Current Ratio가 1 미만인 점은 단기적인 자금 조달 및 운용 측면 에서
유동성 리스크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회사채 발행, 은행 신용 공여 약정 등을 통해 유동성을 관리하고 있으나,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증가 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ㅇ 리스크 관리 능력 평가
* **대응 전략:**
* **경쟁 심화:** 고객 경험 혁신, 고부가가치 서비스 제공, Telstra Plus 로열티 프로그램 강화를 통해 고객
유지 및 경쟁 우위 확보.
* **기술 변화:** 5G, AI 등 신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R&D 투자 및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 **규제 변화:** 정부 및 규제 기관과의 적극적인 소통 및 규제 준수를 통한 리스크 최소화.
* **사이버 보안:** AI 기반 보안 솔루션 강화, 다단계 인증 도입, 정기적인 보안 감사 및 직원 교 육을 통해 사이버
위협 대응.
* **금리/환율 변동:** 파생 상품 활용(금리 스왑, 통화 스왑 등) 및 선제적인 외화 자금 조달을 통 해 금융 리스크
관리.
* **유동성:** 현금 흐름 예측 강화, 보유 현금 및 미사용 신용 공여 한도 유지.
* **리스크 관리 능력:** 텔스트라는 통신 산업의 특성상 다양한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지만, 오 랜 경험과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재무 리스크 관리 측 면에서는 파생 상품 활용, 자금
조달 다변화 등 적극적인 헤징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인프라 및 사이버 보안에 대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Our material risks" 섹션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텔스트라는 리스크를 식별, 평가, 관리 하는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으며, 이사회 및 경영진 차원에서 리스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종합 평가 및 투자 의견 (Overall Assessment & Investment
Opinion)**
### ㅇ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SWOT분석
* **강점 (Strengths):**
* **시장 지배력:** 호주 통신 시장에서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과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보유하 고 있습니다.
* **네트워크 리더십:** 가장 광범위하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인프라를 기반으로 5G 등 최신 기술 을 선도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 **수익성 및 현금 흐름:** 지속적인 EBITDA 성장과 안정적인 영업 현금 흐름을 창출하며, 이는 주주 환원 정책의
기반이 됩니다.
* **고객 기반:** 방대한 개인 및 기업 고객 기반은 안정적인 수익의 원천입니다.
* **자본 관리:** 배당 및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 가치 제고에 힘쓰고 있습니다.
* **약점 (Weaknesses):**
* **경쟁 심화:** 경쟁사들의 공격적인 가격 정책 및 서비스 혁신으로 인해 마진 압박 및 고객 이 탈 가능성이존재합니다.
* **높은 투자 부담:** 5G, AI 등 미래 기술 투자를 위한 지속적인 대규모 자본 지출이 요구됩니 다.
* **낮은 유동 비율:** 단기 지급 능력에 대한 잠재적 우려가 존재합니다.
* **기회 (Opportunities):**
* **5G 및 신기술 확산:** 5G 네트워크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및 수익 모델 창출 잠재력이 큽니 다.
* **B2B 시장 성장:** 기업 고객 대상 디지털 전환 솔루션(클라우드, 보안 등) 시장의 성장 가능 성이 높습니다.
* **InfraCo 성장:** 네트워크 인프라 자산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수익 다각화.
* **AI 및 데이터 활용:** AI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 경험 혁신 및 운영 효율 증대. * **위협 (Threats):**
* **규제 불확실성:** 통신 산업 규제 환경 변화가 사업에 미칠 잠재적 영향.
* **거시 경제 변동성:**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등 거시 경제 환경 변화가 수익성 및 투자 계획에 미치는 영향.
* **사이버 보안 위협:** 데이터 유출 및 시스템 침해로 인한 막대한 피해 가능성.
* **기술 노후화:** 신기술 도입 지연 시 경쟁력 약화 가능성.
### ㅇ 투자 하이라이트 (Investment Highlights)
* **독보적인 시장 지위 및 브랜드:** 호주 통신 시장에서의 강력한 시장 지배력과 높은 브랜드 인지도는 텔스트라의 가장
큰 강점입니다. 이는 안정적인 매출 기반과 고객 충성도를 보장합니다.
* **5G 리더십 및 미래 기술 투자:** 5G 네트워크 구축 및 AI, IoT 등 미래 기술에 대한 선제적인 투자는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미래 통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 **안정적인 배당 및 주주 환원:** 꾸준히 지급되는 배당과 자사주 매입 정책은 안정적인 수익 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 **안정적인 현금 흐름:** 견조한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은 회사의 재무 안정성을 뒷받침하며, 사 업 운영 및 성장을 위한
투자를 가능하게 합니다.
### ㅇ 주요 우려 사항 (Key Concerns)
* **경쟁 심화 및 가격 압박:** 경쟁사들의 공격적인 전략은 텔스트라의 시장 점유율 및 수익성 에 지속적인 압박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저가 요금제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는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합니다.
* **높은 자본 지출 요구:** 5G 네트워크 고도화 및 신기술 도입을 위한 막대한 투자는 단기적으 로 재무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으며, 투자 대비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대적으로 높은 밸류에이션:** 현재 주가 수준은 회사의 성장 잠재력을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어, 추가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실적 개선과 성장 모멘텀이 필요합니다.
### ㅇ 향후 전망 및 종합 의견
텔스트라 그룹은 호주 통신 시장의 선두 주자로서 강력한 시장 지위, 광범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그리고 5G 및 AI와 같은미래 기술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기업 고객 대상의 디지털 전환
솔루션 제공 강화와 InfraCo 사업의 성장은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자본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꾸준한 배당 정책은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투자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열한 경쟁 환경,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술 트렌드, 그리고 잠재적인 규제 리스크는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할 요소입니다.
특히, 고객들이 저가 요금제로 이동하는 추세는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5G 및 기타 신 기술 투자를 위한 높은 자본
지출은 재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볼 때, 텔스트라 그룹은 현재 주가 수준에서 [Neutral] 또는 [Hold] 의견을 제 시할 수
있습니다.**
* **긍정적 요인:** 시장 지배력, 네트워크 리더십, 안정적인 배당, 성장 기술 투자.
* **부정적 요인:** 경쟁 심화, 높은 밸류에이션, 규제 및 기술 변화 리스크.
향후 텔스트라 그룹의 주가 흐름은 5G 서비스 확대 및 상용화, AI 기반 신규 서비스의 성공적인 출시, 그리고 경쟁사 대비
효율적인 비용 관리 능력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요인들을 면밀히 주시하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릴
것을 권고합니다.
'비지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헨티나 Grupo Financiero Galicia S.A. (GFG.BA) 종합 투자 분석 보고서 (0) | 2025.09.22 |
---|---|
호주 Macquarie Group Limited 투자 분석 보고서 (0) | 2025.09.19 |
그리스 National Bank of Greece S.A. (NBG) 종합 투자 분석 보고서 (0) | 2025.09.15 |
그리스 Eurobank Ergasias Services and Holdings S.A. (EUROBANK) - 종합 투자 분석 보고서 (0) | 2025.09.13 |
이스라엘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TEVA) 종합 투자 분석 보고서 (0) | 2025.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