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보기

▣ 수도권과 서울을 연결하는 교통축을 9개로 분류하여 각 축별 공공택지지구와 교통인프라를 분석함으로써 서울 접근편의성과 부동산 가격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다.

 

『축별 광역교통 인프라 현황』

구분 광역도로 광역철도 광역 BRT
의정부 동부간선도로 경원선(1호선) 도봉-미아로
(의정부~종로4)
구리
남양주축
화랑로
경춘로-망우로
경춘선(1호선연장)
중앙선(1호선연장)
망우로
(망우역~청량리)
하남축 올림픽대로
하남로-천호대로
- 천호-하정로
(신설동~구이동)
성남
용인축
분당-장지간/분당-내곡간/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
경부고속도로
8호선
분당선
송파-자양로
(복정역~잠실대교남단)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오산)
과천축 과천-봉담산 고속화도로
과천대로-선바위길
안산과천선(4호선) -
안양
광명축
서부간선도로 경부선(1호선)
경부고속철도
7호선
시흥-한강로
(안양시계~대방역, 한강대교~서울역)
부천
인천축
경인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2경인고속도로
경인선(1호선)
7호선
경인-마포로
(오류IC~아현삼거리)
김포축 올림픽대로
46번국도/78번국도
- -
고양축 자유로/수색로
서오릉로/통일로
경의선(중앙선연장)
일산선(3호선)
수색-성산로
(고양시계~이대후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기본계획

▣ 수도권과 서울 도심과의 물리적 접근성으로 인하여 서울권역과 수도권의 부동산가격 격차해소와 인구분산효과 촉진을 위해 수도권 급행철도인 GTX를 통해 서울도심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고자 각 노선별로 예비타당성조사 등 실무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GTX-A,B,C 노선도

 

수도권 신도시 건설 현황

 

GTX-A 노선 개요

▣ 2017년 11월 예비타당성 심사에서 B/C 1.11로 통과되어 운정역에서 동탄역까지 10개의 역에 정차하며, 삼성역을 중심으로 삼성역과 수서역, 동탄역을 연결하는 노선이 2017년 3월 착공하였고, 2018년 12월 파주 운정역에서 삼성역을 연결하는 노선이 착공되어, 2024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그러나, 파주 운정역에서 삼성역까지 구간은 착공식만 하고, 환경영향평가 승인을 기다리는 상황이며, 환경영향평가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토지보상을 진행하기로 했는데, 2019년중으로 토지보상문제 해결이 쉽지 않아보여, 년대 착공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GTX-B 노선 개요

▣ 2019년 8월 예비타당성 심사에서 B/C 1.0로 통과되어 인천 송도역에서 남양주 마석역까지 14개의 역(왕숙역 포함시)에 정차하며, 서울역과 청량리역을 중심으로 A, C노선과 환승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 최초 인천 송도에서 서울역구간에 대하여 예비타당성 심사를 요청하였으나, B/C 0.33의 참담한 결과를 받고, 마석까지 연장노선에 대한 재심의를 요청하였고, 제3기 신도시인 왕숙신도시내 왕숙역까지 신설하는 안으로 예비타당성 심사를 가장 늦게 통과하였다.

 

▣ 기획재정부의 민자사업 타당성 심사를 통해 민자사업자 입찰을 거쳐야 하는 등 가장 늦게 사업시행이 결정되어 아마도 2024년 정도에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완공은 2030년 정도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GTX-C 노선 개요

▣ 2018년 12월 예비타당성 심사에서 B/C 1.36로 통과되어 양주 덕정역에서 수원역까지 10개의 역에 정차하며, 삼성역과 청량리역을 중심으로 A, B노선과 환승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 최초 B/C 0.66의 참담한 결과를 받고 재심의를 요청하였고, 북부 종점을 의정부에서 제3기신도시인 옥정지구 인근의 덕정역까지 연장하였으며 과천이남의 구간에 대하여 기존 선로를 재활용하는 안으로 비용을 줄이면서 예비타당성 심사를 통과하였다.

 

▣ 2023년 하반기 착공할 것으로 예측되며,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민자사업 적격성 심사를 통과하여 민자사업자로 선정되었다.

 

+ Recent posts